1. 음성 인식과 활용
1) 음성 인식(speech recognition):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를 컴퓨터가 듣고 해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을 말하 며 STT(Speech-to-Text)라고도 한다.
- 음소 : 소리의 최소 단위로서 자음, 모음, 반모음이 여기에 속한다. 예를 들면, '비빔밥'을 /비빔빱/으로 발음한다.
2) 음성 인식의 활용: 음성 비서, 음성 검색, 음성 통역 외국어 교육 등
2. 언어 이해 과정
언어 이해
- 일반적 의미 : 문장 속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
- 인공지능 : 문장에서 단어를 분리하여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과정까지 포함
1) 인공지능의 언어 이해의 원리 : 많은 문장을 학습하여 단어의 패턴을 학습하는 것이다.
2) 단어를 학습하는 방법
- 단어를 공간에 배치하는 방법 : 대부분의 응용 분야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워드투벡터(Word2Vec)라는 용어로 더 많이 사용되며, 인공지능의 언어 이해 성능을 많이 향상시킴.
- 단어의 빈도수를 이용하는 방법 : 단어의 등장 횟수를 누적함
3) 언어 이해의 활용 분야
영역 | 내용 |
텍스트 분류 | 뉴스, 영화의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종류, 영역별로 분류할 수 있다. |
텍스트 유사도 | 텍스트 문서의 유사한 정도를 분석하여 표절 검사, 문서 검색을 쉽게 할 수 있다. |
텍스트 군집화 | 비슷한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를 자동으로 모을 수 있다. |
텍스트 요약 | 문서의 핵심 단어, 문장을 분석하고 자동으로 요약할 수 있다. |
감정 분석 | 음성, 텍스트로 정서 상태 분석 |
챗봇 | 음성, 텍스트 챗봇을 통해 인공지능 스피커 등의 서비스를 할 수 있다. |
번역 | 한국어를 다른 언어로 쉽게 변환할 수 있다. |
긍정 | 부정 |
재밌다, 짱, 최고, 좋다, 괜찮은, 멋있다, 선호하는 | 아깝다, 최악, 부족하다, 부담, 지루한, 뻔한, 아쉽다 |
2024.05.08 - [인공지능 기초] - 인공기초 - 0508
인공기초 - 0508
기본 yolo 소스 코드# 모듈 호출import cv2import numpy as np# yolo 함수 생성def yolo(frame, size, score_threshold, nms_threshold): net = cv2.dnn.readNet("yolov3.weights", "yolov3.cfg") # 이미 학습된 가중치, 학습 파일을 불러다가
conewbie.tistory.com
'인공지능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공기초 0821 (0) | 2024.08.21 |
---|---|
인공기초 - 0604 (0) | 2024.06.04 |
인공기초 - 0516 (0) | 2024.05.16 |
인공기초 - 0508 (0) | 2024.05.08 |
인공기초-0502 (0) | 2024.05.02 |